목록Spring (26)
개(발)린이

저번 시간에 로그인과 쿠키 생성을 구현 하였는데 로그아웃 기능을 구현하지 않아서 쿠키가 생성되었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번 시간은 로그아웃 기능을 구현하여 기능이 정상 작동되는지 확인하고 덤으로 쿠키가 제대로 생성되었는지 확인도 같이 해보겠다. 로그아웃은 로그인과 마찬가지로 컨트롤러에서 Mapping해주는데 로그인과 달리 로그아웃은 Get방식이라 GetMapping을 해준다. @GetMapping("/logout") public String logout(/* HttpSession session */ SessionStatus status) { // 로그아웃 == 세션을 없애는 것 // * @SessionAttributes을 이용해서 session scope에 배치된 데이터는 // Ses..
이번 시간엔 아이디 저장 및 로그인 성공시 input placeholder에 아이디가 저장되게 해주는 cookie를 설정해 보겠다 이전시간에 했던 코드에서 좀더 추가 해주자 @PostMapping("/login")// => @RequestMapping(value="/login", method = 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login(@ModelAttribute Member inputMember, Model model, RedirectAttributes ra, HttpServletResponse resp, HttpServletRequest req, @RequestParam(value="saveId", required=false) String saveId) { login 메..

저번시간엔 로그인을 하면 컬럼값들을 가져와서 loginMember에 저장후 @SessionAttribute를 이용하여 해당 값을 session scope로 이동시켜 로그인을 유지시키는 것 까지 했다. 이번엔 로그인 할때 이메일과 패스워드를 DB와 틀리게 입력했을때 틀렸다는 메세지를 띄우는 걸 만들어보자 먼저 MemberController 클래스이다. @Controller @RequestMapping("/member") @SessionAttributes({"loginMember", "message"})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MemberController.class); @Autowired..

이번엔 로그인을 클릭하면 로그인 정보를 가져오고 그 정보를 session에 저장시켜 유지시키고, Redirect가 되어도 속성들을 유지시켜줄수있는 객체를 사용하여 로그인을 유지시키는 코드들을 작성해 볼것이다. 또한 입력한 이메일과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을 시 메세지를 띄워주는 코드들도 작성해볼거다. 먼저 MemberController 클래스이다 package edu.kh.comm.member.controller; import javax.servlet.http.Cookie;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org.slf4j.Logger; import org.sl..

오늘은 스프링을 이용해서 db에 있는 컬럼의 값을 조회해본다. 우선 컨트롤러이다. package edu.kh.comm1.member.controller;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org.slf4j.Logger; import org.slf4j.Logg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
이번 시간은 저번에 이어 pom.xml 파일의 세팅을 해보겠다. 우선 pom.xml을 보자 4.0.0 home.practice comm practice war 1.0.0-BUILD-SNAPSHOT 1.6 3.1.1.RELEASE 1.6.10 1.6.6 org.springframework spring-context ${org.springframework-version} commons-logging commons-logging org.springframework spring-webmvc ${org.springframework-version} org.aspectj aspectjrt ${org.aspectj-version} org.slf4j slf4j-api ${org.slf4j-version} org.slf4..

이번엔 Spring을 사용하기 앞서 기초 세팅을 해볼것이다. 우선 프로젝트 구조를 변경해볼건데 -> spring 폴더는 프로젝트 설정 파일이 모이는 폴더 이므로 src/main/resources 폴더로 옮겨서 관리하는것이 적절하다. 이 때 스프링 프로젝트 설정 파일의 경로가 변경되었기 때문에 현재 상태로는 프로젝트가 정상 후행되지 않는다. 즉 어느 위치에 설정파일이 존재하고 있음을 명시해야 한다. ※ web.xml web.xml은 배포 서술자로서 WAS(Web Application Server) 가 실행될 때 가장 처음으로 읽어들이는 문서이다. 서버 실행 시 초기 설정 내용 또는 설정 내용이 작성된 파일을 읽고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하려는 웹 모듈 버전에 맞게 web.xml 버전을 변경해주고 + ..

저번시간에 이어서 스프링 세팅을 진행해볼것이다. 실행하면 이런 화면이 뜬다. 우선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해 보자 Spring Legacy Project 클릭해서 Spring MVC Project를 생성해야 하는데... 이럴 때는 Configure templates...를 눌러주면 이런 창이 하나 뜨게 될텐데 하이라이트 되어있는 저 두개를 삭제해주고 다시 프로젝트 생성을 누르거나 껐다 키면 Spring MVC Project가 뜰 것이다. ※ 참고로 나는 아예 껐다 켜야 생겼다. Spring MVC Project를 선택하고 Next를 눌러주면... 요 창이 뜨는데 Yes 눌러주면된다. 누르면 요 창이 뜨는데 최상위 패키지 레벨 써주면된다 3단이상으로! 자동으로 뭐가 받아질껀데 기다려주자 프로젝 생성완료!